
이른바 ‘키 크는 주사’로 잘못 알려진 성장호르몬 주사가 지난해 처방량이 162만 개, 처방액 1500억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 건수는 162만1154건, 처방액은 1592억54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액이 15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20년 596억8100만원 대비 2.6배 급증했다. 처방 건수는 지난 2020년 89만5011건 대비 1.8배 늘어났다. 비급여 처방까지 감안하면 증가폭은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부작용 문제는 끊이지 않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성장호르몬 주사제 부작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성장호르몬 주사제 부작용은 1809건을 기록했다. 이 중 중대 부작용은 165건이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0년 9건에서 18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중대 이상사례에는 폐렴, 상태 악화, 미코플라스마 폐렴, 충수염, 발열 등이 포함된다.
성장호르몬 주사가 키 크는 주사로 잘못 알려진 데는 온라인 불법판매, 알선 광고가 한몫했다. 지난 2021년 2건에 불과했던 관련 불법 광고 적발 건수가 지난 8월 기준 111건으로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식약처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제제는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분비장애, 터너증후군 등으로 인한 소아의 성장부전, 특발성 저신장증 환아의 성장장애 등 질환 치료를 위한 의약품이다. 장기간 과량 투여하는 경우 거인증, 말단비대증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남 의원은 “성장호르몬 주사의 중대 부작용과 온라인 불법판매 광고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보건복지부와 식약처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제도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