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15일 교육격차 해소 사업 ‘서울런’을 전면 개편한 ‘서울런 3.0’을 내놨다. 진로·취업 콘텐츠 확장과 인공지능(AI) 학습 시스템 도입 등 기능을 강화했다. 다만 장애학생을 위한 접근성 개선은 여전히 반영되지 않았다. 서울시가 ‘약자와의 동행’을 내세운 만큼 장애학생 학습권을 보장할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서울런은 서울시가 2021년부터 취약계층 청소년에게 온라인 강의와 1대1 멘토링을 제공하는 교육 지원 플랫폼이다. 이번 3.0 개편의 핵심은 △입시 중심 학습에서 진로·취업 중심으로의 전환 △AI 기반 학습 시스템 도입 △지원 대상 확대 등이다.
서울시는 학습자 적성 탐색과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해 진로 관련 강좌를 새로 운영하고, 참여자 학습 수준과 성향을 분석해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원 대상도 기존 중위소득 60% 이하에서 80% 이하로 확대되고, 다자녀 가구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이 포함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서울런이 이제 ‘전국런’이라는 별칭을 얻으며 교육 사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며 “교육만큼은 누구나 공정한 출발점에서 시작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장애학생 접근성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수어 통역·화면 해설 등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 제공이 이번 3.0 계획에도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 시장은 “장애인 혜택은 정부와의 협의가 언제쯤 이뤄지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 같다”며 “중위소득 60%에서 80%로 늘리는 것도 정부와의 합의가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진우 서울시 평생교육국장도 “민간과 연계된 콘텐츠 구조상 한계가 있다”며 “서울시가 직접 제공하는 콘텐츠부터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7월 21개 장애인단체가 참여한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서울시에 서울런 플랫폼에 자막·수어 통역·화면 해설 도입 등 접근성 개선을 요청했다. 시는 당시 “민간 학습업체 콘텐츠 저작권 문제로 제약이 있다”고 해명했지만, 이번 개편에도 실질적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
솔루션 관계자는 당시 “서울런이 취약계층 청소년을 위한 사업이라면서도 시각·청각장애 학생이 참여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EBS처럼 자막과 수어 영상, 화면 해설을 도입해 모두가 배움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