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후 발령된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심각’ 단계와 이에 따른 비상진료체계가 오는 20일 해제된다. 의료 대란이 1년8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종료되는 셈이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전공의 복귀 이후) 의료체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며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20일 0시부로 해제한다”고 밝혔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해 2월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자 2월23일 사상 처음으로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하고 이에 따른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왔다.
정 장관은 “새 정부 출범 후 의료계와 소통을 재개하면서 상호 협력했고, 상당수 전공의가 복귀했다”며 진료량이 비상진료 이전 평시의 95% 수준을 회복하고, 응급의료 상황도 수용 능력을 거의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보건의료재난 경보가 해제되면 비상진료 유지를 위해 시행됐던 지원금과 한시 수가 등의 조치들이 종료되고 일부는 상시화 된다. 정 장관은 “자원의 효율적 운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된 진료지원 간호사, 비대면진료, 입원전담전문의 등의 조치는 제도화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지난 1년8개월 동안 의정 갈등으로 인해 의료 현장에서 불편 겪은 환자, 가족에게 위로와 사과를 드린다”면서 “어려운 여건 속에서 환자 곁에서 생명 지켜주는 의료진, 119 구급대 등 공무원께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