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캄보디아 프린스그룹 ‘돈세탁 의혹’…조사·제재 필요” [2025 국감]

“바이낸스, 캄보디아 프린스그룹 ‘돈세탁 의혹’…조사·제재 필요” [2025 국감]

기사승인 2025-10-20 16:31:40 업데이트 2025-10-20 18:03:44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이 이억원 금융위원장에게 질의하는 모습. 국회방송

캄보디아 범죄단지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과 관련해 이들의 돈세탁에 이용된 의혹을 받는 바이낸스에 대해 보다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프린스그룹이 국내 은행에 맡긴 예금에 대한 압류 및 동결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캄보디아 범죄 사태의 배후로 프린스그룹이 지목되고 있다. 민병덕 위원께서도 말씀 주신 바이낸스는 하마스와 북한 등 돈 세탁 등에 활용됐던 거래소다. 창립자는 자금세탁 방조 혐의를 받고 있다”며 “프린스그룹도 돈세탁에 바이낸스를 이용했다. 미국 재무보도자료에도 나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가 3년 만에 승인됐다. 한국 자산시장이 완전히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며 “금융위는 고팍스의 대주주인 바이낸스의 중대한 자금세탁방지 의무 위반행위가 확인됨에 따라 리스크를 종합 검토 중이라고 승인을 내 주지 않았었다. 2년 넘게 신중히 검토하던 금융위가 정권이 바뀌고 4개월 만에 승인냈다”고 짚었다. 

김 의원은 “바이낸스가 지금 문제가 되는 캄보디아 사태 배후에 있는 프린스그룹의 자금세탁에 사용되었던 거래소면, 금융위는 훨씬 더 이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린스그룹의 국내은행 예금을 압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국내 금융권에서 캄보디아에 진출한 회사는 13개다. 그런데 프린스그룹 등과 관계를 맺고 있는 금융사는 국민은행, 전북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M뱅크 등 5곳”이라며 “아직 프린스그룹이 이들 은행에 맡긴 예금이 912억원가량 된다. 캄보디아에 있는 현지 국내은행에 예치됐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미국 재무부에서 프린스그룹을 지금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규정해 차단 조치를 했다. 우리나라 역시 프린스그룹에 대한 금융제재를 확실히 해야 한다고 본다”라며 “프린스그룹이 가지고 있는 금액을 동결하고 압류해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에게 피해구제금액으로 나눠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바이낸스 관련 내용은) 금시초문이다. 자금세탁이나 미국 정부로부터 제재받은 부분이나 임원 개인적인 결격사유가 없는지 계속 체크하면서 마지막 단계에서 그런 게 해소돼 신고 수리가 됐다고 보고받았다”라며 “(프린스그룹 예치금 건은) 외교부와 기재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신속하계 마무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희 기자
window@kukinews.com
이창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