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장범 한국방송공사(KBS) 사장의 정치 중립성 훼손 논란과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상임위 운영을 놓고 정면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박 사장이 윤석열 정부에 부역했다며 비판했다.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23일 국회 과방위 국감에서 “편파 보도, 시청자 신뢰도 추락, 시청률 하락, 경영 악화가 이어지며 KBS가 침몰하고 있다”면서 “이는 윤석열 정부에 부역한 결과”라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박 사장 취임 이후 KBS의 광고 점유율과 시청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며 “2년 연속 1000억 적자는 회생불능 상태다. 박장범은 사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정헌 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은 돈줄을 옥죄는 방법으로 KBS를 뒤흔들더니 결국 낙하산 사장을 내려보냈다”며 “KBS를 국민의 품으로 되돌려 보내기 위해 민주당은 방송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국민들에게 돌아가지 못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이어 “사상 최악의 경영, 노동과 공정방송 근로조건 무시, 감사 패싱 등 KBS의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국민의힘은 최 위원장이 상임위를 진행할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최 위원장의 최근 행보를 보면 권력에 취해 몸을 가누지 못하는 독재자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사장을 향해 “이재명 정부도 방송법 개정안을 통해 박 사장의 퇴진을 노골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면서 “끝까지 임기를 지켜야 한다. 독재의 모습에 굴복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도 “지난 20일 MBC 비공개 국감 현장에 있었다”며 “그 자리에서 최 위원장이 자신과 관련한 특정 보도 내용을 문제 삼으며 보도본부장을 감정적으로 질책하다 퇴장시켰다”고 했다.
또 “기자들의 항의에 최 위원장은 MBC를 향해 친국민의힘 편파보도라며 낙인찍었다”면서 “비공개회의에서 폭압적이고 감정적인 태도로 위원장 권한을 남용했다. 이 행위는 언론에 보장된 편집권 독립에 대한 침해 행위”라고 언급했다.
박 의원은 이와 관련해 MBC 대주주이자 관리·감독을 담당하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권태선 이사장을 향해 의견을 물었다. 권 이사장은 “공영방송의 특수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생각한다”며 “공영방송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권력기관에 대한 감시다. 그래서 개별 보도나 프로그램에 대해 일일이 묻지 않는 것이 그동안 국회에서의 관례”라고 답했다.
이에 최 위원장은 “당시 국민의힘 위원들도 화면에 개별 보도를 다 띄워놓고 친민주당 보도라고 했다”면서도 “언론계의 선배인 권 이사장의 말을 받아들여 깊이 새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