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성인기에 축적된 심혈관 건강 상태가 중년기 이후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호규·하경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와 지종현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교수 연구팀은 30대에 높은 수준의 심혈관 건강을 유지한 경우, 중년 이후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최대 70% 이상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2004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30세 성인 24만1924명을 대상으로 심혈관 건강 점수와 심뇌혈관질환 및 신장질환 발생 위험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심혈관 건강 점수는 신체활동, 흡연, 체질량지수, 혈압, 혈당, 혈중 지질 등 6개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해 10년간의 누적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5분위로 나눠 비교했다. 이후 평균 9.2년간 추적 관찰을 진행했다.
그 결과, 심혈관 건강 수준이 상위 20%인 집단(Q5)의 연간 심뇌혈관질환·신장질환 발생률은 0.05%에 불과했다. 하위 20% 집단(Q1) 대비 심뇌혈관질환 위험은 73%, 신장질환 위험은 75% 낮았다. 특히 건강 수준이 높고 기간이 길수록 누적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호규 교수는 “젊은 성인기의 건강 습관과 요인의 형성과 지속성이 중년 이후 질병 예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장년기 이후의 치료 중심에서 벗어나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포괄적 건강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