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에서 납치 및 보이스피싱 조직범죄가 빈번해지는 가운데,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 송금액이 3년 새 3배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해수위원장인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해수위의 범농협 국감에서 “2021년 캄보디아 내 조직범죄가 급증하고 있다는 발표가 있었고 그 이후로 농협은행의 캄보디아 송금액이 약 3배나 대폭 증가했다”고 질타했다.
어 의원실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캄보디아 조직범죄가 본격화된 2021년부터 올해 9월까지 농협은행을 통해 총 3605억원(2만1981건)이 캄보디아로 송금됐다. 이 중 한국인 송금액은 3160억원(2억2045만 달러)으로 전체의 약 88%를 차지했다.
연도별 송금 추이를 보면 △2021년 368억원(2569만 달러) △2022년 459억원(3205만 달러), △2023년 942억원(6580만 달러) △2024년 1038억원(7247만 달러)으로 3배 증가했다. 올해 9월 기준 송금액도 이미 798억원(5569만 달러)에 달한다.
이에 강태영 농협은행장은 “캄보디아에 MFI 법인이 하나 있는데 소액대출을 해주는 기관이기 때문에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은 0%”라며 “자체조사를 해본 바로는 (범죄 연관성이)전혀 없고, 캄보디아 쪽의 송금이 조금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인데 외국인 계절근로자 등으로 인해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답했다.
어 의원은 “단순히 캄보디아 노동자들의 생활자금 송금으로 보면 안 된다”면서 “왜 한국인 송금액이 갑자기 늘어나는지, 범죄 관련 자금인지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강 행장은 거듭 “초국가적인 범죄조직 등이 포함된 국제적인 제재 대상자들에 대한 자금이 흘러가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철저히 하고 있다”면서 “전혀 우려할 게 없지만 한 번 더 체크하고 철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