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을 둘러싼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이 다음달 8일 특검 대질조사로 분수령을 맞는다. 23일 열린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마주 선 오 시장과 명태균씨는 단 한 치의 양보도 없었다. 한쪽은 “거짓말에 능하다”고 했고, 다른 한쪽은 “누가 거짓말쟁이냐”며 맞섰다.
‘빚 받으러 왔다’ vs ‘스토킹 수준이었다’
명씨는 이날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오세훈한테 빚 받으러 왔다. 청산 안 하면 오세훈이 거짓말쟁이”라고 외쳤다. 그는 “(오 시장 수사 관련) 자료 20건을 들고 왔다”며 휴대전화를 들어 보였다. 이어 “오세훈이 일곱 번이나 나를 만났다. 아파트를 사주겠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증언 도중 고성을 지르자 신정훈 위원장이 수차례 제지에 나서기도 했다.
오 시장은 “도움을 받은 적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일정 시점 이후엔 캠프에 발도 못 들였다. 대부분이 스토킹 수준이었다”고 명씨 주장을 일축했다. 앞서 그는 오전 질의에서도 “거짓말에 능한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울면서 전화했다’ vs ‘말도 안 되는 소설’
명씨는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오세훈이 울면서 전화했다”며 “2021년 1월22일 ‘나경원을 이기는 여론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또 “송셰프 중식당에서도 울었다”고 구체적 장소까지 언급했다.
오 시장은 “명씨 주장은 말도 안 되는 소설”이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사실관계는 대질신문에서 밝히겠다”며 구체적 답변을 피했다. “이 자리에서 밑천을 드러낼 이유가 없다. 의원님들이 저의 정당한 재판권을 침해하고 있다”고도 했다.
진술 엇갈린 채 특검 ‘대질조사’로
이날 국감은 양측의 상반된 진술만 남긴 채 마무리됐다. 명씨는 감정 섞인 발언을 이어갔고, 오 시장은 침묵으로 맞섰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다음달 8일 오전 9시 오 시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명씨를 참고인으로 불러 대질조사를 진행한다. 명씨가 2021년 보궐선거 당시 오 시장 측에 미공표 여론조사를 제공하고, 제3자가 그 비용을 대신 냈다는 의혹이 핵심이다.
법조계는 이번 대질조사에서 ‘만남 횟수’와 ‘조사비 인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본다. 오 시장이 그동안 “두 번 만났다”, “도움을 받은 적 없다”고 밝혀온 만큼 특검 조사에서 진술이 달라지거나 앞뒤가 맞지 않을 경우 정치적 책임과 정치자금법 위반 여부 논란이 함께 불거질 수 있다.
다만 진술 번복이 곧바로 형사처벌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 국감 증언은 형법상 위증죄가 아니라 국회증언감정법 적용 대상이지만, ‘기억의 착오’나 ‘인식의 차이’로 방어할 경우 고의 입증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에서 오 시장이 국감장에서 극도로 발언을 아낀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