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조계원 기자]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영권 간섭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심에서 징역 5년의 실형을 선고받아, 그룹 총수의 부재가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 등 삼성 오너일가의 영향력 아래 있는 삼성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의 지분율은 20% 수준이다.
이건희 삼성 회장(3.82%)이 개인 가운데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뒤이어 이 회장의 아내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0.83%), 이재용 부회장(0.64%) 순이다.
이밖에 법인으로 삼성생명(8.13%), 삼성물산(4.57%), 삼성화재(1.42%) 순으로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모두 합치면 총 19.86%에 달한다.
총수 일가의 삼성전자 지분이 19.86%인 상황에서, 삼성전자 외국인 주주의 지분율은 52∼53% 수준으로 오너 일가가 가진 지분의 2.5배 수준을 넘어선다.
삼성그룹 총수 일가는 그동안 낮은 지분율에도 양호한 실적을 바탕으로 경영권 유지에 큰 무리가 없었다. 하지만 그룹 총수의 장기간 부재가 해외 투기 세력 등의 경영권 간섭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례로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간 합병 때 개입한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이번 법원의 유죄판결을 근거로 당시 합병 무효나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것.
재계 관계자는 “그룹 총수의 부재를 틈타 외국계 투기세력이 삼성 흔들기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Chokw@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