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가 27일 오후 4시부로 도내 해역에 적조 주의보를 발령하고 피해 최소화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부 남해 앞바다에는 주의보가, 중부 앞바다에는 예비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도는 황토 살포, 물갈이 등 방제작업과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도는 지난 26일부터 산발적으로 발생한 적조를 차단하기 위해 긴급 초동 대응에 나섰다. 같은 날 해양수산국장이 남해군 방제 현장을 긴급 방문해 상황을 지휘하고 어장 관리 철저를 당부했으며 27일에는 통영시에서 열린 방제장비 시연에 참여해 장비 상태를 점검했다.

예산도 신속히 확보했다. 도는 방제사업비 조기 소진에 대비해 해양수산부에 긴급 예산을 요청, 27일 9억6000만원을 추가로 확보해 피해 우려 지역에 지원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올해 적조 피해 예방을 위해 90억원을 투입, 대용량 황토살포기 20대와 황토 6만2000톤을 사전 확보해둔 상태다.
이상훈 도 해양수산국장은 "현재 도내 해역 수온이 적조생물 성장에 적합한 22~26℃ 범위로 유지되고 있어 우려가 크다"며 "발생 해역에 신속한 방제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남도,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2곳 최종 선정…창신대·마산대 지정
경상남도는 법무부·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에 도가 추천한 창신대학교와 마산대학교가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2026년부터 2027년까지 2년간 시범 운영되며 외국인 유학생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전문성을 갖춘 돌봄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남도는 지난 6월 자체 공모를 통해 7개 대학을 심사한 뒤 창신대와 마산대를 후보로 추천했고, 법무부 최종 심의를 거쳐 지정이 확정됐다.

창신대는 스리랑카 고용노동부, 캄보디아 우정 간호대학과 연계해 유학생을 유치하고, 도내 요양시설 14곳과 협력해 실습·채용 연계를 강화한다.
마산대는 도내 최초로 외국인 요양보호사 국가자격시험 합격자를 배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AI 실시간 번역 강의, 다국어 교육 콘텐츠, 유학생 토탈케어 플랫폼 등 정주 지원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두 대학은 모두 도내 요양보호사 교육기관으로 지정돼 있어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6학년도 1학기부터 학위과정이 개설되며 한국어 교육과 맞춤형 실습 중심 교육이 본격화된다.

법무부는 해당 전담학과 외국인 유학생에게 비자 요건 완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경남도는 RISE 사업과 연계해 교육과정 고도화, 현장실습·채용 연계망, 언어·정주 지원, 경력관리 시스템 등을 구축해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 정착과 도내 돌봄 인력난 해소를 지원할 방침이다.
김성규 도 교육청년국장은 "대학–요양시설–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현장 기반 인재양성 모델을 만들고, 외국인 유학생에게 학업–자격–취업으로 이어지는 원스톱 경로를 제공해 경남 맞춤형 돌봄 인재 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남도, 1조1038억원 추경안 도의회 제출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가 도민 생활 안정과 재난 피해 복구를 위해 1조1038억원 규모의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25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경이 통과되면 경남도의 총 예산 규모는 14조5226억원에 달한다.
도는 이번 추경안을 통해 소상공인 지원·내수진작과 집중호우 피해 복구 등 민생 현안에 신속히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예산에는 정부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국비 8586억원과 도비 475억원이 반영됐으며 성립 전 예산과 공모사업 국비 변동분도 포함됐다. 특히 지난 7월 중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 예산도 대거 편성됐다.

예산 운용은 ‘선택과 집중’ 원칙에 따라, 시급한 생활 안정과 재난 복구 분야에 우선 투입하고 실집행률이 낮은 사업이나 행사성·소모성 경비는 과감히 삭감했다.
주요 편성으로는 소상공인·민생 안정: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에 9061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에 162억원을 투입해 내수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확대를 도모한다. 기업 유치를 위한 지방투자촉진보조금도 423억원 증액됐다.
교통비 지원: 청년 대상 대중교통비 환급(K-패스) 42억원, 어르신 등 교통약자 지원(경남 K-패스) 45억원이 추가 반영됐다.
재난 복구 및 안전 강화: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재난대책비 66억원, 농경지 침수 예방 배수개선 사업 38억원, 지방하천 둑높이기 6억원이 편성됐다. 위험절개지 정비 등 지방도 정비 21억원, 도지정유산·전통사찰 보수 5억원, 산사태 피해 복구 7억원도 포함됐다. 산청·하동 등 침수피해 지역에는 21억원 규모 예비비가 배정된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번 추경은 도민 생활 안정과 재난 복구를 위한 불가피하고 꼭 필요한 사업에만 집중했다"며 "앞으로도 국비 확보와 재정 효율화를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추경예산안은 9월 9일부터 열리는 제426회 경남도의회 임시회에서 심의돼 9월 18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