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부산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가 29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중부권 토론회’를 끝으로 두 달여간의 순회 토론회를 마무리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시도민과 관계자 등 160여 명이 참석해 행정통합 필요성과 지역 발전 방안을 논의하며 지역사회의 기대감을 드러냈다.
지난 7월 부산 원도심을 시작으로 양산·진주·통영 등 8개 지역에서 열린 권역별 토론회에는 총 1000여 명의 시도민이 참여했다. 위원회는 이를 통해 지역 특성과 주민 의견을 반영한 공론화 결과보고서를 마련, 하반기 중 시도지사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행정통합의 필요성과 효과, 추진 절차 등이 설명됐으며 지정토론과 자유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윤창술 경상국립대 교수는 "지방소멸 위기는 ‘검은 코끼리(Black Elephant)’와 같다"며 수도권 중심 구조를 전환하는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민호 경남도의원은 방산·조선·자동차 등 중부권 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상생 전략을 제시했다.
안권욱 지방분권 경남연대 공동대표는 조례입법 특례 신설과 국세 이양을 통한 세원 확대를 강조했고, 하혜수 경북대 교수는 대구·경북 사례를 소개하며 "주민 지지와 참여가 통합 성공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행정통합이 전국 최고의 광역자치단체로 도약할 계기가 되길 바란다"는 주민 의견이 나왔으며 인구 소멸, 청년 정착, 교통 인프라 선구축, 재정 분배 등 구체적 질문과 제안도 이어졌다.
위원회 관계자는 "시도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 실질적이고 체감할 수 있는 행정통합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지역이 주도하고 주민이 참여하는 통합 논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