뚱뚱해진 한국…“분절된 대책 넘어 통합 관리 필요”

뚱뚱해진 한국…“분절된 대책 넘어 통합 관리 필요”

35~39세 남성 비만율 58%
비만군 당뇨병 유병률 2.1배
소아청소년 비만율 2014년 19.5%→2021년 29.2%
“청소년 비만, 사회경제적 손실 심각”

기사승인 2025-09-05 06:00:09
쿠키뉴스 자료사진. 그래픽=한지영 디자이너

성인 3명 중 1명 이상은 비만일 만큼 한국인이 비만해지고 있다. 특히 20~30대 젊은 남성에서 고도비만이 빠르게 증가하며 대사·심혈관·근골격계 질환 조기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비만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세대 간 건강 불평등으로 확산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비만학회는 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학술대회를 열고 ‘2025 비만 팩트시트’를 발표했다. 비만 팩트시트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돼 매년 발표되고 있다.

팩트시트에 따르면, 국내 성인 비만율은 2014년 31.1%에서 2023년 38.4%로 10년 사이 7%p(포인트) 넘게 증가했다. 최근에는 38%대에서 주춤한 모습이지만, 남성의 절반가량(49.8%)이 비만으로 집계돼 여성(27.5%)의 두 배에 달했다. 특히 남성의 비만율은 20~39세까지 상승 곡선을 그렸다. 20~24세 비만율은 40.1%, 25~29세 47.4%, 30~34세 54%로 나타났으며 35~39세는 58.0%로 가장 높았다.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는 “2019년부터 청년 남성의 고도비만 문제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심각성을 느낀다”며 “20~30대 비만자들의 당뇨병 위험은 최대 43배까지 증가하며, 이는 예방적 관점에서 시급히 다뤄야 할 문제다”라고 말했다.

초고도비만에 해당하는 성인의 3단계 비만 유병률은 30~34세에서 2.57%로 가장 높았다. 3단계 비만 유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남성 20~24세에서 3.22%, 여성 35~39세에서 1.86%로 조사됐다.

비만은 만성질환으로 이어진다. 당뇨병 유병률은 비만군이 비(非)비만군보다 2.1배 높았다. 성별에 따라선 남성 19.1%, 여성 20.9%로 조사됐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비만군이 비비만군보다 1.5배 컸으며, 성별에 따라선 남성 26.4%, 여성 34.9%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비만군이 비비만군보다 3.1배 높았으며, 유병률은 남성 57.4%, 여성 58.3%로 확인됐다.

대한비만학회는 4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학술대회를 열고 ‘2025 비만 팩트시트’를 발표했다. 신대현 기자

소아청소년 비만 문제도 제기됐다.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2014년 19.5%에서 2021년 29.2%까지 치솟았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급격히 늘었던 비만율이 완화되며 2023년 22.1%를 기록했다.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소아남아는 8세부터 증가해 14세에 28.3%로 가장 높았고, 여아는 16세부터 증가해 17세에 26.7%로 가장 높았다.

한 교수는 “고등학교 여학생의 비만율 급증은 입시 스트레스와 운동 부족 등 교육 환경의 구조적 문제와도 연관이 있다”며 “부모 모두 비만일 경우 여아의 비만 위험이 7배 증가하는 등 유전적·환경적 영향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청소년 비만은 건강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손실도 심각하다는 우려도 나왔다. 유유영 질병관리청 만성질환예방과 책임연구원은 “2021년 기준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15조6000억원에 달하며, 비만 관련 손실이 흡연·음주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면서 “비만 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 비만 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오히려 대사 이상 위험이 더 높은 경향도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다양한 비만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부처별로 분절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연구원은 “전문가가 알려주는 비만 교육 영상 콘텐츠 제작과 보급, 과학적 근거 기반의 청소년 비만 예방관리 수칙 제정을 추진 중”이라며 “소아청소년에 맞는 세분화된 비만 통계와 생활습관 기반 요인 분석, 정책 효과 모니터링, 국제 비교 자료, 임상 가이드라인이 함께 제공된다면 정부와 학계 모두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재명 정부는 ‘소아비만의 국가 책임 확대’를 공약으로 내건 바 있어 소아비만 치료 환경 개선 여부도 관심사다.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관계자는 “최근 정부 공약을 통해 비만 종합대책 수립 필요성이 제기됐고, 이에 따라 부처에서도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라며 “중앙정부의 정책이 지역사회로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