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국익 최우선”…김정관 장관, 美와 관세 협상 후속 논의

대통령실 “국익 최우선”…김정관 장관, 美와 관세 협상 후속 논의

기사승인 2025-09-13 09:55:16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오른쪽)과 악수를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현지시간 12일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만나 한미 관세 협상에 관한 후속 논의를 이어갔다. 지난 7월 양국이 합의한 관세 조정이 세부 협의 과정에서 난항을 겪는 가운데 열린 장관급 회담인 만큼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13일 외교 관계자 및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김 장관은 이날 뉴욕 모처에서 러트닉 장관을 만나 지난 7월 합의된 관세 협상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논의했다. 러트닉 장관은 전날 9·11 테러 24주기 추모식 참석을 위해 뉴욕에 머물고 있었으며, 두 장관은 지난 7월에도 같은 장소에서 상호관세 시행을 앞두고 회담을 가진 바 있다.

양국은 당시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려던 25%의 상호관세를 15%로 낮추고, 한국이 총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큰 틀의 합의만 확인됐을 뿐, 투자 구조와 외환시장 안정 대책 등을 두고 세부 협의가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이다.

지난 8일 열린 실무 협의에서도 산업부와 기재부 합동 대표단이 미국 상무부·USTR과 협상을 벌였으나 대미 투자의 구체적 구조를 둘러싼 이견으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도 “기축통화국이 아닌 한국이 외환시장 충격을 감당할 수 있도록 미국의 협조가 필요하다”며 난관을 인정한 바 있다.

러트닉 장관은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일본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은 협정을 받아들이거나 관세를 납부해야 한다”고 발언, 압박 수위를 높였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합리성과 공정성을 벗어난 합의는 없다”며 국익 최우선 원칙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대한민국 국익에 반하는 협상은 절대 없다”고 못박았다.

아울러 김 장관은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조지아 공장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해 미국 측에 비자 문제 개선을 요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그는 국회 상임위에서 “러트닉 장관에게 직접 강하게 유감을 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심하연 기자
sim@kukinews.com
심하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