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발생한 KT의 소액결제 침해 사고에도 불구하고 가입자 이탈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유심 해킹 사태로 대규모 가입자 유출을 경험한 SK텔레콤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1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 소액결제 침해 이후 이동통신 3사간 가입자 수의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번호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 4일부터 11일까지 KT에서 타사로 이동한 고객은 1만8387명, 반대로 타사에서 KT로 유입된 고객은 1만8167명으로 집계됐다. 순이탈은 220명에 불과했다.
서울 휴대전화 집단상가 판매점 관계자는 “SK텔레콤과 달리 KT는 피해자가 적고 100% 보상한다고 말했기에 현장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라며 “현재 KT는 본사 서버의 해킹으로 인한 피해가 아니기에 가입자들도 요동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KT는 지난 5일 오전 3시 비정상 소액결제 시도를 확인하고 차단해 추가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8일에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용 정황을 확인하고 오후 7시16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접속을 차단하고, 신규 등록을 9일 오전 9시 중단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West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식 사과를 했으며, 같은 날 개인정보위에 침해 신고를 완료했다.
지난 4월 유심 해킹 사태를 겪은 SK텔레콤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SK텔레콤은 지난 4월18일 유심 해킹 사고 발생했고, 같은 달 22일 개인정보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이를 신고했다. 이후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4월28일 하루에만 3만4132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했다.
4월 한 달간 총 11만4330명이 SK텔레콤을 이탈, 4~7월까지 3개월간 약 72만명이 줄며 시장 점유율 40%선이 붕괴됐다.
통신업계는 사태를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아직 KT의 수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기에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KT 소액결제 침해 피해자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이날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이달 12일 오후 6시까지 경찰에 신고돼 유사성 검토를 거친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는 총 199건, 피해액은 1억2600만원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광명시 118명(7750만원), 서울 금천구 62명(3760만원), 경기 부천 7명(580만원), 경기 과천 9명(410만원), 인천 3명(160만원) 등이다.
지난 9일 기준 124건에서 75건 늘어났으나 지난 10일 기준 KT 자체 집계 규모인 278건, 1억7000여만원 보다는 적다. KT는 향후 수십명의 피해자가 더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게다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6시 기준 KT 고객센터에 접수된 소액결제 관련 문의는 9만2034건에 달했다.
향후 KT에 대한 정부의 수사 결과가 이동통신 가입자 점유율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통신업계는 이번 KT 사태가 SK텔레콤 유심 해킹 당시처럼 통신시장 전반에 큰 변화를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SK텔레콤은 모든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는 이슈로 가입자들이 불안감을 느껴 이동했던 것 같다”며 “당시에는 다른 이동통신사에서 보조금을 풀며 가입자 쟁탈전을 했으나 현재는 무리해서까지 진행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