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국가연구개발(R&D) 사업 통합실증지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울산 울주군 길천 일원에서 2027년부터 2030년까지 연구실증이 진행된다. 이번 실증 사업 규모는 총 4300억 원이다.
15일 울산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 기반 항행·교통관리 기술, 수직 이착륙장(버티포트) 운용·지원기술, 안전인증·실증기술 등 3개 분야 13개 과제로 추진된다.
국내에서 개발한 교통관리·수직 이착륙장·항행 설비 등을 세계적 수준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실증용 기체도 도입할 예정이다.
시와 국토부, 기상청이 공동 추진하는 이번 연구개발은 민관 협의체인 'UAM 팀코리아'의 13개 실무단 전문가 80여 명이 지난 1월부터 기획에 참여했다.
220여 개 산·학·연 기관도 참여해 공청회 등을 거쳐 계획을 보완했다.
시는 이번 실증사업 추진으로 이착륙장, 지상지원, 교통·운항·공역 관리, 항로관제, 디지털복제 등 도심 항공 교통산업 기반을 울산에 집적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2024년부터 진행 중인 도심항공교통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과 연계해 해당 산업을 선점하고 도심항공교통 선도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미래 혁신 교통체계의 중심도시로서 울산의 입지를 굳힐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