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2년 만에 계열사 30% 줄였다…‘AI 중심 체질개선’ 본격화

카카오, 2년 만에 계열사 30% 줄였다…‘AI 중심 체질개선’ 본격화

기사승인 2025-10-13 09:44:06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9월 23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AI캠퍼스에서 ‘이프 카카오 25’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발표를 하고 있다. 카카오 제공

카카오가 그룹 계열사 수를 두 자릿수로 줄였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13일 주주서한을 통해 현재 99개인 계열사 수를 연말까지 80여개 수준으로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거버넌스 효율화는 지난 2023년 9월 CA협의체 사업총괄을 맡은 정 대표의 핵심 과제다. 정 대표가 사업총괄로 취임했을 당시 카카오 계열사는 142개였다. 이후 대표이사 선임 시점인 2024년 3월에는 132개로, 현재는 99개까지 줄이며 2년 만에 계열사의 30%를 감축시켰다.

정 대표는 “카카오는 지난 1년 반 동안 그룹 지배구조를 속도감 있게 개편하고 전사적인 비용 효율화를 동시에 진행해 미래 성장에 집중할 수 있는 재무 구조를 마련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올 하반기부터는 인공지능(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또 한번의 일상 혁신을 본격적으로 선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재무 체질 개선도 이뤄지고 있다. 카카오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859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카카오는 경기 둔화에도 톡비즈니스의 견고한 성장과 계열사의 이익 개선 등으로 재무적 기반을 탄탄히 다졌다고 설명했다.

현재 카카오는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 실현에 나서고 있다. 5000만명의 카카오톡 사용자 모두가 AI를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개인의 필요와 취향에 맞춰진 AI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달 10월 말 출시되는 오픈AI와의 공동 프로덕트인 ‘챗지피티 포 카카오’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다.

온디바이스AI ‘카나나 인 카카오톡’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해당 서비스는 자체 경량 모델 ‘카나나 나노’를 활용해 스마트폰 안에서만 작동하며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지난 8월 공개한 MCP와 에이전틱 AI플랫폼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에이전트로 연결하는 AI 생태계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카카오는 주주서한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 대한민국 AI 인재 육성, 소상공인 지원을 핵심 축으로 하는 책임 경영 강화 방향성도 공개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주요 경영진 대상이었던 총주주수익률(TSR) 연계 보수체계를 올해부터는 전 임원으로 확대 적용했다. 이어 청소년 대상 AI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국내 4대 과학기술원과 협력해 향후 5년간 500억원을 투자해 AI 인재 육성 및 연구‧창업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더불어 소상공인들이 사업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통합지원 TF’를 신설해 단계별 맞춤 지원을 제공하는 등 파트너와의 상생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정우진 기자
jwj3937@kukinews.com
정우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