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새 정부의 국정 방향에 맞춰 남북교류협력사업을 다방면에서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이재명 정부는 남북 관계 경색 국면에서도 이산가족 문제를 군사 의제와 분리 접근하면서 '인도적 교류' 의지를 천명하는 등 화해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이날 도청에서 남북교류협력 사업 발굴 등의 논의를 위해 ‘제3회 경상북도 남북교류위원회’를 열어 18개 사업에 대한 ‘남북교류협력사업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2008년 설치한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위원회’는 행정부지사를 위원장으로 총 20여명의 위원이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총괄하며 민간교류 지원과 남북교류협력기금 운영 심의 등의 임무를 맡고 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20여 명의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날 위원회는 내년도 남북교류협력기금 운용계획(안)과 남북교류협력사업계획(안)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번째 안건으로 올린 ‘2026년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기금 운용계획(안)’ 심의에서는 100억원 규모의 남북교류협력기금에 대한 내년도 운용계획과 기금 존속기간 연장, 기금 사용 용도의 확대 등을 논의했다.
이어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사업계획(안)’심의에서 향후 남북 관계 개선과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교류에 대비하기 위해 발굴한 경상북도 남북교류협력사업(18건)에 대한 심의를 가졌다.
‘남북교류협력사업계획(안)’에는 경북도의 강점 분야인 농업, 산림, 문화․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이 포함됐다.
주요 사업으로는 ▲경주세계문화엑스포 남북교류사업 추진 ▲북한 소재 목판 공동 조사·연구 ▲환동해 크루즈 관광 활성화 ▲남북 화합 청소년 교류 프로젝트 ▲남북 의료교류를 위한 국제기구 협력 강화 등이다.
또 ▲경북형 평면 사과원 조성 및 기술지원 ▲북한의 농업 생산기반 구축 지원 ▲양묘기술 전수 및 현대화 양묘장 조성(임업) ▲북한 황폐산림 복구사업 추진 등 경북도가 핵심사업으로 추진 중인 농업 대전환도 전수할 계획이다.
이밖에 ▲환동해권 축산물수출전진기지 건설(세포지구) ▲북극항로 거점항만 공동 개발 ▲남북공동 극한지 엔지니어링 센터 구축 사업 ▲남북 새마을 상생협력 프로젝트 ▲남북 공동 6.25 전사자 유해발굴 협력사업 계획(안) 등 정부와의 공동 협력사업도 대거 담겼다.
경북도는 이와 함께 남북 교류의 선도적인 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경북도만의 강점을 담은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남북 관계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대통령께서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가지고 END 이니셔티브를 제안한 만큼 중앙정부의 정책과 발맞춰 경북도만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을 발굴해 남북 관계 개선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2025 APEC 정상회의가 경제를 넘어 평화와 번영의 시작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