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한국과의 무역 협상이 마무리 단계라고 밝혔다.
15일(현지시간)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방송 대담에서 ‘중국을 제외하고 현재 어떤 무역 협상에 가장 집중하고 있냐’는 질문을 받고 “내 생각에 우리는 한국과 마무리하려는 참이다(we are about to finish up with Korea)”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대미 투자를 두고 이견이 있지 않냐’는 질문을 받자 “악마는 디테일에 있지만 우리는 디테일을 해결하고 있다(ironing out the details)”며 “IMF와 세계은행의 회의 주간에 많은 사람이 모이게 돼 그 부분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는 지난 7월 30일 타결한 관세 협상에서 미국이 예고한 대(對)한국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이 총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시행하는 등의 내용에 합의다. 그러나 이행 방안을 놓고는 큰 이견을 보여왔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본격화하기 위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으로 향했다. 구 부총리는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했다. 그는 이 회의 참석을 계기로 베선트 장관과 만나 무역협상 협안 등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미국 워싱턴DC 인근 델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구 부총리는 ‘양국 협상에 진전이 있어서 막판 조율 단계인가’라는 질문을 받자 “계속 빠른 속도로 조율하는 단계”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총력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이날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 “마무리하려는 참이다”라고 언급한 데 대해선 “제가 비행기 타고 오는 도중에 나온 뉴스여서 베선트 장관을 만나서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미국이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백지수표를 고수하는 건 아닌가’라는 질문에 “그건 모르겠지만, 일단 저희가 설명했다”며 “베선트 재무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이야기해서 이해는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가 대미 투자금 마련을 위해 달러화를 대규모로 조달할 때 외환시장 안전장치를 확보할 필요성과 관련해선 “미국이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대해 많이 이해하고 있다”며 “그래서 아마 저희가 제안한 것에 대해 받아들일 것 같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한국 정부가 생각하는 협상 데드라인에 대해 “국익에 맞는 입장에서 빠르게 되는 게 최고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