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항만공사(BPA)는 북항 감만부두 내 교통체증을 해소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GPS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프리게이트를 도입·운영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디지털 프리게이트(부두 내 가상의 게이트)는 지오펜싱(Geo-fencing)기술을 활용해 가상구역을 설정하고, 해당 구역에 화물차량이 진입 시 공사 올컨e 앱으로 전자인수도증이 자동 발급되도록 하는 디지털 가상 게이트를 말한다.
북항 감만부두는 최근 외부 철송장 등의 시설이 장치장으로 용도가 변경되며, 화물차들이 이를 이용 시 기존 진출입 게이트를 통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부두 내부와 인근 도로는 화물차량 간 교차 운행으로 인한 혼잡과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이동시간도 길었다.
한국허치슨터미널의 신감만·감만부두 이전 후 화물차량의 통행량 증가로 극심한 교통체증이 야기됐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해 BPA는 디지털 프리게이트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화물차량들은 디지털 프리게이트 진입 즉시 휴대전화로 전자 인수도증을 발급받아 외부 장치장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게 됐다. 외부 장치장 진입 시 이동거리가 2km에서 1km로 감축됐다.
BPA는 사고위험 감소와 교통 정체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 프리게이트 도입은 BPA와 부산항 북항 감만부두 운영사인 신선대감만터미널(BPT)과 협업해 진행했다. 두 회사는 지난해 11월부터 개발에 착수해 올해 6월 현장 적용 후 4개월 만에 83%의 이용률을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