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릉이, 어울링 등 지방자치단체의 공영 자전거 운영 확대로 자전거 이용이 늘고 있지만, 이와 함께 관련 사고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전거 교통사고는 8% 이상 증가했다.
행정안전부가 27일 발표한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에 따르면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만7754㎞로 2023년 2만6872㎞에 비해 약 3.3%(882㎞) 증가했다. 2020년 2만4484㎞와 비교하면 13.4%(3270㎞) 증가했다.
종류별로는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2만660㎞(74.4%) △자전거 전용도로 3735㎞(13.5%) △자전거 우선도로 2252㎞(8.1%) △자전거 전용차로 1107㎞(4.0%)다. 이는 지방정부가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전거도로 시설 확충에 지속적으로 힘쓴 결과다.
공영자전거 보유 대수는 6만9572대로 전년 대비 6.2%(4067대) 증가했다. 대여실적은 약 5800만건으로 전년 대비 2.3%(약 133만건) 늘었다. 2020년(약 3400만건)과 비교하면 약 68.4%(약 2300만건)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 대여실적은 서울이 4388만 건(75%)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대전 575만건(10%), 경남 461만건(8%), 세종 258만건(4%) 순이다.
단체보험을 가입한 지방정부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전국적인 자전거 이용 안전망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자전거 교통사고는 5571건으로 2023년(5146건) 대비 8.3%(425건) 증가했다. 사망자는 64명에서 75명으로 17% 늘었다. 사고 유형별로 살펴보면 자전거가 사람은 친 건수가 2023년1352건에서 지난해 1677건으로 24% 증가했다.
연령별 사고발생 현황은 20세 이하 사고가 2023년 1077건에서 지난해 1620건으로 50% 넘게 증가했다. 61세 이상 운전자의 사고는 1804건으로 조사됐다.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은 행정안전부 누리집 내 자료실에서 전자파일로 제공된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이번 자전거 이용 현황 통계가 지방정부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최근 청소년 자전거 교통사고가 늘어나고 있어, 자전거 안전 문화 조성을 위한 교육·홍보 등 안전사고 예방과 감소를 위해 지방정부·경찰청·교육부 등 관계기관과 적극 협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세종=김태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