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국내 저축은행이 2000억원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이는 부실채권 정리에 따른 효과로, 하반기에도 대출 증가 등 근본적인 영업이익 확대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총 257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3958억원 순손실을 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흑자로 돌아선 것이다.
저축은행업권의 순익 증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적극 정리하면서 대손비용을 줄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 업계는 저축은행중앙회를 중심으로 2023년 말부터 지속적으로 부실채권 공동 매각을 추진해왔으며, 올 상반기에만 1조4000억원 규모의 PF 부실채권을 털어냈다.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 전입액도 1조6550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3285억원)보다 28.9% 줄었다.
하반기에도 저축은행들은 부실채권 정리를 이어가며 수익성 회복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실적 개선은 부실채권 정리에 힘입은 영향으로 근본적인 영업이익 강화와는 거리가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이자이익은 뚜렷한 개선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저축은행 업권의 여신 잔액은 지난 6월 말 94조9746억원으로, 2021년 9월(93조3669억원)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5월 100조원 선이 무너진 뒤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일반자금대출 신규취급 가중평균금리도 지난해 12월 10.9%에서 올해 6월 10.1%로 낮아졌다. 이에 따라 이자이익 규모는 2024년 4분기 1조4000억원에서 올 1분기 1조3000억원으로 줄었다가 2분기 다시 1조4000억원을 기록하는 등 제한적인 개선에 그쳤다. 금감원은 “여신 축소와 신규대출 금리 하락으로 이자이익 개선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대출 여건은 더 나빠진 상태다. 6·27 규제에 따라 신용대출 한도가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되면서 하반기 신규 대출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저축은행들도 만기 도래 고객을 대상으로 한 재영업 강화와 채권 투자 등 금융 투자 확대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3·4분기에도 채권을 매각하며 충당금 환입이나 매각 이익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것이 실제 영업 수익으로 보기에는 어렵다”며 “시중은행이 예대마진 의존에서 벗어나라는 권고를 받는 것처럼, 저축은행들 역시 예대마진만으로는 운영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