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경호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가 12·3 비상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부인했다. 당시 의원총회 장소를 여의도 중앙당사로 소집한 이유는 국회의 전면 통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4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특검(특별검사 조은석)이 제가 지난해 3월부터 논의된 계엄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며 “그 당시에는 원내대표도 아니었고 총선을 한 달 앞둔 시점이라 지역구 활동에 집중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2일 의총에서 같은달 4일에 전국 당원들이 참석하는 당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향한 규탄대회를 열기로 결정했다”며 “당시 규탄대회를 추진한 것은 계엄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또 “계엄 당일 제가 최초로 의총을 소집한 장소는 당사가 아닌 국회였으나 출입이 통제돼 당사로 변경했다”며 “그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전화가 왔고, 계엄을 미리 알리지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로 통화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후 국회 출입이 재차 가능하다는 연락을 받고 의총 장소를 국회로 변경했다”며 “일부 주장과 달리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이후에도 의원들에게 국회로 모일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국회로 진입한 직후 다시 통제가 이어져, 국회로 들어오지 못한 의원들이 의총 장소 변경에 문제를 제기했다”면서 “어쩔 수 없이 다시 당사로 변경한다고 보낸 문자가 표결 방해라는 주장은 정치 공세”라고 지적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당시 국회 의석 구조는 야당이 192석으로 계엄 해제 표결에 필요한 정족수를 이미 확보했던 상황”이라며 “우리당 의원 일부가 국회에 들어오지 못한 것은 표결과 아무 상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특검이 수사기관이라면 구체적인 정황과 증거를 확보하고 의혹을 제기하라. 그래서 ‘정치 특검’이라는 오해를 받는 것”이라며 “조만간 특검에서 수사 요청이 오면 계엄 당일의 사실관계를 상세하게 밝히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