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두고 서울시와 자치구가 취약계층 맞춤 지원에 나섰다. 명절에 소외되기 쉬운 이들이 따뜻한 추석을 보낼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기초생활수급가구는 25만4000가구로 전년보다 1만6000가구 늘었다. 시는 가구별로 3만원을 지급하고, 노인요양시설 입소 어르신(758명)과 거주시설 입소 장애인(1840명)에게도 1인당 1만원을 지원한다. 또 서울광역푸드뱅크센터를 통해 2억원 상당의 식료품·생활용품을 전달할 예정이다.
연휴 기간(3~9일)에도 경로식당·단체급식소와 도시락·밑반찬 배달 등 무료 급식은 중단 없이 운영된다. 대상은 60세 이상 저소득 어르신 3만2000명, 결식 우려 아동 2만6000명이다. 노숙인 시설도 5~8일 매일 세 끼 식사를 제공한다.
시는 △돌봄 필요 어르신 4만명 △중증장애인 2만8000명 △고독사 위험가구 7만5000가구에 대한 안부 확인도 강화한다. 생활지원사, 전담 사회복지사, 돌봄단, 활동지원사 등이 전화·방문·모니터링을 맡는다. 정상훈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연휴 기간 소외되기 쉬운 취약계층이 정책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말했다.
성동구는 복지종합대책 ‘성동 든든돌봄’을 내놨다. 연휴 전후 이틀간 ‘집중 안부 확인의 날’을 운영해 홀몸 어르신·청년·중장년 1인가구 등 6355가구를 대상으로 전화·방문 확인을 한다. 건강 취약군은 연휴에도 수시로 살필 예정이다. 또 연휴 직전 2주간 ‘미리돌봄 서비스’를 통해 결식·안전·돌봄 우려 주민에게 급식을 연계하고 후원물품을 제공한다. 동 돌봄매니저와 마을간호사는 복약 지도 등 선제적 지원을 병행한다.
구는 반지하·옥탑방 등 주거 취약가구에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필요시 집수리서비스도 연계한다. 아울러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장애인·긴급돌봄 대상자 등 1092가구에 연휴 전날 명절 특식과 대체식품을 제공한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소외되는 주민 없이 모두가 안전하고 편안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종로구는 2~10일 9일간 ‘추석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국가보훈대상자·기초생활수급자·한부모가정·차상위계층에 위문금을, 장애인·노인복지시설에는 위문품을 전달한다. 홀몸어르신은 전화·방문을 통해 안부를 확인하고 응급상황에 대비해 비상연락체계를 가동한다. 쪽방 주민을 위해서는 추석 음식 만들기와 공동차례 행사를 마련했다. 공동차례는 2일 오전 10시 돈의동쪽방상담소에서 열린다.
영등포구는 기초생활수급자·저소득 한부모가정·중증장애인 등 1만3000여 명에게 위문금을 지급하고, 복지 대상 어르신에게 후원물품을 제공한다. 노숙인 228명에는 무료 급식을 확대하고 쪽방촌 주민 374명에게는 문화활동비와 후원물품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