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청 없애면 마약천국 된다”…이성권 “1년간 마약수사 공백 불가피”

“검찰청 없애면 마약천국 된다”…이성권 “1년간 마약수사 공백 불가피”

5년간 마약사범 3만여 명 검찰이 입건
공급·유통사범 늘었는데 단속 인력 축소
“중수청 신설까지 1년…국민 안전 공백 심각”

기사승인 2025-10-05 18:21:12
최근 5년간 전체 마약류 사범의 법죄유형별 단속 현황 자료. 이성권 의원실 제공
검찰청을 폐지하고 1년 뒤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을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개편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검찰이 담당하던 마약범죄 수사가 중단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1년간 마약 단속 공백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부산 사하갑)은 대검찰청 자료를 인용해 “최근 5년간 입건된 마약사범 10만3231명 가운데 34%인 3만4773명을 검찰이 입건했다”며 “검찰청 폐지로 수사 공백이 생기면 마약 확산을 막을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연도별로 보면 검찰의 마약사범 입건 비율은 2020년 33.1%, 2021년 35.2%, 2022년 32.4%, 2023년 31.9%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4년 들어 35.4%로 다시 늘었다. 이 의원은 “검경수사권 조정으로 검찰 수사력이 약화됐던 시기를 제외하면, 검찰의 마약범죄 검거 비율은 꾸준히 증가해왔다”고 설명했다.

마약범죄는 고발이 아닌 첩보와 인지 수사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사기관의 전문성·경험이 중요하다. 2023년 ‘대치동 마약음료 협박 사건’, ‘연예인 프로포폴 상습 복용’ 사건 이후 정부가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자, 마약사범 입건 수는 전년보다 50% 급증했다. 반면 2021년 검찰의 직접수사 범위를 축소한 검경수사권 조정이 시행되자 입건 수는 1만8050명(2020년)에서 1만6153명으로 감소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 이 의원 홈페이지 화면 캡처
이 의원은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이 검찰청을 없애고 중수청을 1년 뒤 신설하겠다는 건 국민 안전을 담보로 한 위험한 실험”이라며 “마약사범 단속의 30% 이상을 담당해온 검찰이 빠지면 마약 공급·유통 범죄가 폭증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중수청 신설까지 남은 1년 동안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누가 지킬 것이냐”며 “수사 지휘체계가 붕괴되면 대한민국은 ‘마약 오염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진수 기자
rokmc4390@kukinews.com
조진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