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이 산업재해와 직장 내 괴롭힘, 성비위 등 각종 내부 문제에서 정부 외청 가운데 최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직원 10명 중 1명꼴로 산업재해가 발생하고, 직장 내 괴롭힘과 성비위에도 ‘솜방망이 처벌’이 이어지는 등 조직 기강 해이가 심각했다.
11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가유산청을 비롯한 16개 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국가유산청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는 총 12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원 대비 11.8%에 달하는 수치로 전체 직원 10명 중 1명 이상이 산업재해를 겪은 셈이다.
산업재해 세부 내용을 보면 전체 산재의 절반 이상이 낙상 사고였으며, 무리한 동작으로 인한 부상과 절단·베임 사고도 다수를 차지했다. 단순 실수보다는 산업안전 의식 부족과 예방관리 부실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조직문화 측면의 문제도 심각하다. 국가유산청은 정부 외청 16개 중 정원 대비 산업재해·성비위·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수 2위, 징계 건수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특히 직장 내 괴롭힘 비율 1위인 산림청과 불과 0.1%포인트 차이에 불과했다.
구체적으로 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수는 18건이었다. 유형은 △노래방 동행 요구 등 성희롱 △막말·폭언 △주식 대리투자 요구 △불합리한 업무지시 △사적 노무 지시 등으로 다양했다.
직장 내 괴롭힘을 포함한 전체 징계 건수는 34건에 달했지만 대부분이 ‘경고’나 ‘주의’, ‘견책’ 등 경징계에 그쳤다. 사실상 ‘솜방망이 처벌’로 조직 내 병폐가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다.
임오경 의원은 “국가유산청의 산업재해, 직장 내 괴롭힘, 성비위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조직문화를 혁신해 안전한 직장, 합리적인 직장, 일하고 싶은 직장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