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암센터 의료장비 절반 이상이 사용 가능 기간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 진단 및 처치 등 필수 진료장비까지 대거 노후화돼 환자 진료에 차질이 우려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이 국립암센터에서 제출받은 ‘의료장비 노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보유 장비 1169개 중 618개(53%)가 조달청 내용연수(설비 사용 가능 기간)를 초과했다. 이 가운데 5년 이상 초과 장비는 426개(69%)였으며, 10년 이상은 173개, 15년 이상은 83개에 달했다.
진료 필수 장비 871개 중 463개(53%) 또한 노후화됐고, 이 가운데 110개는 교체가 필요한 상태다. 수술실·중환자실 등에서 사용하는 538개 장비 중 327개(61%)는 내용연수를 넘겼으며, 72개는 빠르게 교체해야 할 수준이다.
MRI, 혈액검사기기, 영상 진단 장비 등 주요 장비의 노후화도 심각했다. 국립암센터가 보유한 MRI 5대 중 1대는 2007년에 도입돼 18년째 사용 중이다. 이는 기준 내용연수인 10년을 8년 넘긴 상태로, 검사 지연과 품질 저하가 빈번하다는 지적이다.
한지아 의원은 "암 관리 중심기관인 국립암센터에서 의료장비 노후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은, 기관의 신뢰뿐 아니라 국민 건강권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라며 "노후 장비는 진단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환자 치료를 지연할 수 있는 만큼 의료장비 전수조사와 교체 계획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