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세포폐암, 흡연 기여도 98.2%…“흡연과 폐암·후두암 인과성 명백”

소세포폐암, 흡연 기여도 98.2%…“흡연과 폐암·후두암 인과성 명백”

편평세포폐암 21.4배, 편평세포후두암 8.3배

기사승인 2025-08-11 15:02:12
한 시민이 편의점에서 담배를 구입하고 있다. 박효상 기자

흡연자의 소세포폐암 발생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54.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세포폐암은 정부의 담배소송 대상 암종 중 하나로,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소송에서 주요 근거로 제시될 전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11일 국내 발생률 상위 주요 암종을 대상으로 생활환경 및 유전위험점수(PRS)가 동일한 사람에서 흡연으로 인한 암 발생 위험도와 기여위험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건강보험연구원과 지선하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2004~2013년 전국 18개 민간 검진센터 수검자 13만6965명을 대상으로 2020년까지 추적 관찰해 이뤄졌다.

분석 결과, 담배 소송 대상 암종(소세포폐암, 편평세포폐암, 편평세포후두암)의 흡연으로 인한 발생 위험도는 다른 암종에 비해 높았다. 비흡연자에 비해 ‘30년 이상, 20갑년 이상’ 현재 흡연자의 암 발생 위험도는 소세포폐암 54.5배, 편평세포폐암 21.4배, 편평세포후두암 8.3배였다.

암 발생 기여위험도 분석에선 ‘30년 이상, 20갑년 이상’ 현재 흡연자에서 흡연이 소세포폐암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가 98.2%, 편평세포후두암 88.0%, 편평세포폐암 86.2%였다. 반면 흡연이 대장암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28.6%, 위암 50.8%, 간암 57.2%로, 소송 대상 암종에 비해 흡연의 기여도가 낮았다.

이선미 건강보험연구원 건강보험정책연구실장은 “폐암, 후두암은 다른 암종보다 흡연이 기여하는 정도가 월등히 높고, 유전 요인의 영향은 극히 낮았다”며 “흡연과 폐암, 후두암 발생 간 인과성은 명백하다”고 말했다.

한편 건보공단은 지난 2014년 흡연 폐해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묻고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담배회사 KT&G, 한국필립모리스, BAT코리아를 상대로 약 533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