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이 사상 처음 20조원을 넘어섰다. 직장인 월 4만원 식비 지원, 농촌 기본소득 시범 도입, 전략작물 직불 확대 등 국민 생활과 농민 소득을 직접 겨냥한 예산이 담겼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6년 예산안을 전년 대비 6.9%(1조2934억원) 증가한 20조35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예산은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을 뒷받침하고 농업을 식량안보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는 새정부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편성됐다. 특히 기후위기 대응, 선제적 수급관리, 취약계층 먹거리 안정, 청년농 육성 등 농업 세대전환과 지역 균형성장, AX 기반 확충에 집중됐다.
우선 정부는 생활비 부담 완화를 위해 ‘직장인을 위한 든든한 한끼’ 사업(79억원)을 신설했다. 산업단지 근로자와 중소기업 직장인에게 월 4만원의 식비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초등학교 1~2학년 60만명에게는 과일간식 제공을 재개(169억원)하고, 농식품 바우처(740억원) 지원 대상도 청년까지 확대해 먹거리 돌봄을 강화한다.
농촌 기본소득 시범사업도 처음 도입된다. 사업비 1703억원을 투입해 인구감소지역 69개 군 가운데 6개 군을 공모·선정해 약 24만 명 주민에게 매월 15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한다. 농촌 생활 안정과 지방소멸 대응을 동시에 겨냥한 조치다.
또한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지원이 확대된다. 전략작물 직불금은 2440억원에서 4196억원으로 늘어나고, 지원 면적은 17만6000ha에서 20만5000ha로 늘어난다. 밀·콩 등 전략작물 생산 확대에 맞춰 소비 기반을 넓힐 계획이다. 콩 비축량은 6만톤(3150억원)으로 기존보다 두 배 올린다.
농가 소득안전망도 보강된다. 친환경농업·저탄소농업 프로그램 등 선택형 직불금은 5164억원 규모로 확대되고, 수입안정보험과 농작물재해보험의 보장 범위도 넓어진다.
이밖에 정부는 AI 기반 스마트농업, K-푸드 수출 확대, 동물보호시설 개선 등을 추진해 농업의 성장 기반과 사회적 책임을 동시에 강화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국회에 제출된 2026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최대한 확보·보완될 수 있도록 국회 심의 단계에서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