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년6개월 만에 돌아왔지만, 국립대병원 전공의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전국 15개 국립대병원(본원·분원 구분)에서 받은 ‘전공의 정·현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병원의 전공의 정원 2861명 중 현재 1955명(68.3%)만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정원은 물론 의정 갈등 전인 2023년 12월과 비교해도 부족한 수치다. 2023년 12월31일 기준 14.4%(전체 정원 2608명 대비 현원 2233명)였던 국립대병원 전공 결원율은 현재 31.7%로, 17.3%p(포인트)가량 상승했다.
전공의 충원율 격차는 국립대병원 별로도 컸다. 서울대병원의 전공의 충원율은 80.4%, 전북대병원은 71.7%인 반면, 경상국립대병원은 42.6%, 칠곡경북대병원은 52.8%, 화순전남대병원은 55.3%, 충북대병원은 60.0%였다.
게다가 수련환경 혁신 지원사업 대상인 필수의료 8개 과목(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 전공의 수로 한정하면 그 충원율 격차가 더 심하다. 2023년 12월 81.1%였던 전체 국립대병원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은 현재 55.7%로 25.4%p 하락했다. 15개 병원 중 10개 병원의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은 50%를 밑돌았다.
병원별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은 경상국립대병원 23.3%, 강원대병원 35.1%, 제주대병원 38.7%, 양산부산대병원 40.4%, 충북대병원 40.7% 순으로 낮았다. 서울대병원(본원 76.2%·분당 69.4%), 전북대병원(62.2%)과 비교했을 때 그 격차가 상당한 것이다.
백 의원은 “만성적인 필수과 전공의 부족과 누적된 재정 적자 등으로 지방 국립대병원들이 복합적 위기에 처해 있다”며 “지역·필수의료는 물론 의학교육, 임상 연구의 중추인 국립대병원이 무너지지 않도록 정부의 정교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