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현실적인 탄소중립 해법, 국가 NDC 달성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기술(CCS)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장철민·황정아·이재관 국회의원과 공동 개최한 이번 토론회는 CCS 현황을 점검하고, 이산화탄소 저장소 확보 시급성과 기술 상용화 기반 마련 필요성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탄소중립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국제사회가 합의한 핵심 목표로, 제조업 공정과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재생에너지 전환만으로는 감축하는 것은 한계가 분명한다.
이에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장기간 격리하는 CCS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날 김병엽 KIGAM 자원탐사개발연구본부장은 ‘CCS 저장소 확보 전략’을 주제로 물리탐사선 탐해3호를 활용해 국내 대륙붕과 퇴적분지를 정밀 조사하며 CCS 저장소 후보지를 발굴한 성과와 가능성을 공개했다.
특히 다채널 탄성파 탐사, 3차원 지질구조 영상화, 시추코어 분석으로 저장용량과 밀폐안정성을 검증하며 대규모 장기 저장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앞으로 저장소 특성화 데이터베이스와 국가 차원의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다중 모니터링 기술을 고도화해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어 신영재 한국해양대 교수는 국내 저장소 평가를 퇴적분지 규모, 잠재저장소, 유망구조, 사업부지로 단계별 구분함을 설명하고, CCS가 연간 480만 톤 감축 목표를 담당하려면 2030년까지 최소 220만 톤 규모 저장소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서해역에서 1~2년 내 100만 톤급 저장소를 유망구조 수준에서 확보하고, 이어 탐사시추를 통해 2~3년 내 사업부지로 격상하는 과정이 선결돼야 함을 토대로 현재 3단계로 평가된 서해 군산분지에 조속한 신규 3D 탐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CCS가 연구단계에 머물지 않고 실제 산업단계로 확산되기 위한 방안도 나와 눈길을 끌었다.
이중 2021년 상업 생산을 마치고 국내 최초 4단계 사업부지로 선정된 울릉분지 내 동해-1 가스전이 빠른 시일 내 심부 시추와 주입 실증을 확대해 저장소 전환 모델로서 가능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모였다.
특히 울릉분지는 상용화 체계 구축을 서둘러야 할 핵심 거점으로, 운영 표준과 안전관리 기준 마련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권이균 KIGAM 원장은 “이번 토론회는 CCS의 국내외 현황을 점검하고, 우리나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해법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탐해3호와 축적된 연구역량을 기반으로 저장소 탐사와 기술 상용화를 선도하고, 국가 NDC 달성과 ‘2050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