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향해 연일 맹공을 퍼붓고 있다. 당 내부에서는 ‘김현지 방지법’ 발의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21일 YTN 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에 출연해 “김 실장이 이 대통령의 중요한 순간마다 핸드폰을 교체했다”면서 “이 대통령과 관련한 여러 비밀을 은폐하기 위한 작업이 아니겠나”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공교롭게 핸드폰을 교체한 시점이 이 대통령의 특정 사건과 연결돼 있다”라며 “민주당이 약정 만료로 인해 핸드폰을 바꿨다는 설명을 내놨는데, 대통령실이 아닌 왜 당에서 해명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김 실장이 국정 농단을 하고 있다고 본다”며 “김 실장이 국감에 출석해 명확히 소명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강명구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BBS 라디오 ‘금태섭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김 실장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 되기 이전부터 수많은 일을 해온 인물”이라며 “정부 장관급 인사까지 쥐락펴락하는 실세”라고 말했다.
그는 “비서관급 인사 한 사람을 지키고자 민주당 의원들이 전부 나서 김 실장을 옹호하고 있다”면서 “모든 상임위가 그렇게 움직이고 있는데, 김 실장이 국감에 직접 나와 해명했다면 벌써 끝났을 문제”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김 실장을 향한 국감 출석 요구에도 민주당이 방어 태세를 유지하자, 국민의힘은 국감 출석 압박을 위해 이른바 ‘김현지 방지법’ 발의를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현지 방지법은 국회 상임위원회 재적 위원 3분의1 이상이 서면으로 증인 출석을 요구할 경우, 다수결 의결 없이 증인 채택이 가능하도록 했다.
법안 발의를 예고한 곽규택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김 실장은 이재명 정부 출범 당시 총무비서관이었다”며 “총무비서관은 대통령실의 운영 전반을 관리하는 직책으로 그동안 당연히 국감에 참석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김현지 총무비서관을 국감 증인으로 부르겠다고 하자, 이재명 정부가 갑자기 직책을 부속실장으로 변경했다”면서 “이후 정부와 민주당은 김 실장이 국감에 출석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그동안의 국감 관행에도 맞지 않다. 오히려 총무비서관으로서 국민들에게 숨기고 싶은 것이 있다는 반증”이라며 “김 실장은 반드시 이번 국감에 출석해 여러 의혹과 관련해 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