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1명 남았다…의정갈등에 의사과학자 양성 ‘빨간불’ [2025 국감]

10명 중 1명 남았다…의정갈등에 의사과학자 양성 ‘빨간불’ [2025 국감]

기사승인 2025-10-22 11:13:03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로비에 걸린 병원 홍보물 옆으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쿠키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의정사태로 인해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 결과, 보건복지부의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에 참여했던 전공의 10명 중 9명이 연구를 포기했다.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전공의 연구지원사업) 참여자 89명 가운데 78명(약 88%)이 중도 포기했다고 22일 밝혔다.

복지부는 전공의들이 임상 외 분야에서 연구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기초의학·자연과학·공학 등 석사·박사·통합학위 과정에 진학한 전공의를 대상으로 1인당 연간 국고보조금 2000만원과 기관부담금 1000만원을 지원하는 전공의 연구지원사업을 운영해왔다. 지원금은 연구비, 장학금, 인건비로 활용되며 최소 1년 이상 참여, 최대 2년간 지원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난해 2월 전공의 대다수가 당시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해 병원을 떠나면서 연구지원사업 참여자들도 대부분 연구를 이어가지 못했다.

이밖에 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추진 중인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사업(전일제 박사과정) 수료자 가운데 순수 연구 인력으로 남은 비율도 절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해당 사업을 통해 배출된 박사과정 수료자는 총 77명으로, 임상·연구 병행 인력은 36명(47%), 연구 전담 인력은 34명(44%)이었다. 창업 1명, 인턴 수련·군 복무·진로 준비 등 기타가 6명이었다.

서 의원은 “지난해 의정사태로 주요 의대의 대학원생과 임상 연구 인력이 대거 이탈하거나 지원을 미루면서 그나마 유지되던 의사과학자 생태계가 급속히 위축됐다”며 “윤석열 정부가 의사과학자 양성을 국정과제로 내세우고도 무리한 의대 증원으로 기반을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약 개발과 의료 인공지능(AI), 진단 기술 혁신의 뿌리인 의사과학자 양성의 싹을 정부가 스스로 잘라버린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찬종 기자
hustlelee@kukinew.com
이찬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