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전주시 신규 광역소각장은 민간운영이 아닌 전주시 직영으로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22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 신규 소각장 사업은 ‘제2의 리싸이클링타운 사태'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며 “민간투자사업에 미련을 버리고 전주시가 직접 운영하는 방식으로 공공성과 안전성을 확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특히 “소각장 운영이 민간투자사업의 구조적 폐해로 비용 절감과 이윤 극대화가 부른 5명의 사상자를 낸 가스 폭발 참사, 부적절한 폐기물 처리, 음폐수 무단 반입 사업 등 총체적 운영 부실, 영업기밀을 이유로 한 정보 은폐, 관리·감독 책임을 회피한 전주시의 무책임, 시설 운영을 볼모로 삼은 운영사의 협박과 비용 전가 등 민간기업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민간운영 방식에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또한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전주 소각장과 같은 시설은 이윤 창출의 대상이 아닌 시민의 삶을 지키는 필수 기반시설로, 지자체가 직접 재정을 투입하고 책임지고 운영할 때 공공성과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당장의 초기 비용 부담을 이유로 민간투자를 선택한다면, 리싸이클링타운에서 보았듯 향후 더 큰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리싸이클링타운을 반면교사 삼아 신규 소각장 민간운영에 대한 저울질을 중단하고, 전주시가 신규 소각장을 직접 운영하는 방식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