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은 최근 일부 언론에서 ‘산사태 위험도를 경사도 위주로 측정해 실효성이 낮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산사태위험지도는 산림이 변화되는 것을 반영해 현행화 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보도는 ‘지난 폭우로 산사태가 발생한 경남 산청지역의 산사태위험도는 3~5로 낮았지만, 이는 벌목 등 주변 환경이 바뀌어도 위험등급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산림청은 “산사태위험지도는 전국 산지의 산사태 발생위험도를 1~5등급으로 구분한 지도로써, 산불, 산사태, 태양광, 풍력, 벌채, 조림, 임도, 산지전용 등 산림이 변화되는 사항을 반영해 매년 1년 주기로 현행화하고 있다”며 “산사태위험지도는 숲모습(임상), 나무지름크기(경급), 사면경사, 사면방위, 사면길이, 사면곡률, 모암, 토심, 지형습윤지수 등 9개 인자와 임상도, 산림입지토양도, 지형도, 지질도 등 4개의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산청군 산사태는 피해가 있는 주택 또는 마을주변의 위험등급이 아닌, 산사태가 발생된 지점을 조사해 몇 등급에서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며 “산청군 단성면 방목리는 2~3등급이 분포하고 있으며, 신안면 외송리는 1~2등급이 분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산림청은 “산사태위험지도를 계속 현행화, 고도화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