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청년기에 경험하는 생활환경이 뇌의 감각 기능 통합과 신경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이정희 교수, 생리의학교실 정성권 교수·유태이 연구원, 한국뇌연구원·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이태관 책임연구원, 김길수 교수 연구팀은 최근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생후 4주부터 11주까지 수컷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터널·회전 바퀴·둥지 등 물리적 자극과 사회적 교류가 풍부한 환경(Environmental Enrichment) △외부 자극 없이 단독 사육되는 사회적 고립 환경(Social Isolation)에서 각각 사육했다.
그 결과, 자극과 교류가 풍부한 환경에서 자란 생쥐는 시각·촉각 처리 능력이 향상됐고 뇌의 기능적 네트워크 분리도(segregation)가 유지됐다. 감각·운동 통합(sensorimotor integration) 기능도 강화됐다. 반면, 사회적 고립 환경에서 자란 생쥐는 뇌 전체의 기능적 연결성이 저하되고 네트워크 혼재가 나타났으며, 분리도 역시 감소했다.
이정희 교수는 “다중감각 자극에 대한 뇌의 감각통합 반응을 fMRI로 분석한 세계 최초 연구”라며 “우울증, 불안,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정신건강 질환의 치료 방향을 새롭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에 미치는 위험성과 함께, 감각 기반 중재법과 후각 시스템을 활용한 새로운 바이오마커 가능성을 제시해 정신질환 예방·치료 전략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