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9월 8~12일) 세종 관가는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과 부처 이전 등 가장 큰 화두였다. 환경부는 기후·에너지 정책을 총괄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을 공식화했다. 해양수산부는 연내 부산 이전 계획을 발표하며 속도를 냈다. 반면 기획재정부는 정책 발표 관리 부실로 구설에 올랐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9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처리되면 10월 1일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출범한다”고 밝혔다. 그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과 기획재정부의 기후대응기금·녹색기후기금을 이관받아 기후·에너지 정책을 통합 관리하는 컨트롤타워가 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 일부 부서의 세종 내 이전도 필요해졌다. 시일이 촉박해 당분간은 현 건물에서 업무를 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이 사용하는 곳을 비우고 그 자리에 산업부 에너지 부서가 옮겨 올 것이란 추측도 제기된다. 이전 규모는 환경부 전체 인력의 3분의 1 수준으로 알려졌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11일 ‘새 정부 출법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부산 청사)는 오는 10월부터 내부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오는 12월까지 해수부 부산 이전을 완수하겠다.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을 완료하면 내년은 ‘해양수도권 원년’을 맞이하게 된다”며 구체적 청사 이전 로드맵을 공개했다. 또한 직원들의 정주 여건을 위해 관사 제공, 주거 지원, 맞춤형 이전 컨설팅도 병행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동남권 산업투자공사 설립과 해사법원 설치 법안의 국회 통과 가능성을 언급하며 지역 기반 강화를 강조했다. 북극항로 TF를 직접 총괄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오전 특정 언론에 출연해 공식 발표 전이었던 이재명 정부 첫 주택공급 대책을 사전에 흘렸다는 잡음이 나왔다. 이를 두고 세종 청사 출입 기자단 차원에서 유감을 표명하고 중요한 정책 발표 시 철저한 관리와 재발방지를 요구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3C(싸고(cheap)·안정적(constant)·깨끗한(clean))’ 에너지 정책 기조를 재확인했다. 산업부는 9일 한국에너지공단 서울지역본부에서 ‘제6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실무 총괄분과 회의를 개최하며, 새 정부의 ‘재생에너지 대전환’ 정책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9일 취임 후 첫 직원 워크숍을 열고 국토교통 안전관리 체계를 점검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0일 동물보호단체와 간담회를 열어 동물복지 강화를 강조했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