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가 다가오는 동절기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을 사전에 막기 위해 지역 맞춤형 ‘경남형 차단방역 모델’을 개발하고 본격 추진에 나섰다.
도는 이번 모델을 통해 ‘AI 발생 없는 청정 경남’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새 방역모델은 중앙정부의 일률적 지침에서 벗어나 경남의 지리·산업적 특성을 반영했다.
권역별 대응체계를 확립하고, 산란계·오리 등 고위험 축종에 대한 특별 관리, 방역 인력의 효율적 운영, 민관 협업 강화 등을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경남도는 'CLEAN! CHECK! CONTROL! 깨끗이! 꼼꼼히! 철저히!’를 방역 슬로건으로 내걸고 △야생조류 방역관리 △경남형 전략지도 운영 △위험 축종 맞춤형 특별관리 △방역관리 효율화 △민관 협업 기능 강화 등 5대 전략과 10대 세부 과제를 체계적으로 실행할 계획이다.

야생조류 도래지(주남저수지·우포늪·화포천 등)를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해 드론·소독차량을 활용한 집중 소독을 실시하고 고병원성 항원 검출 시 탐방로 폐쇄 및 출입 차량 차단 등 신속 대응에 나선다.
또 오리농가가 많은 서부권에는 차량 오염검사, 철새도래지가 밀집한 동부권에는 산란계 농가 정밀검사와 차량 전면 통제를 강화한다.
정창근 경남도 동물방역과장은 "경남 실정에 맞는 방역관리 방안을 마련했다"며 "AI 청정 경남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