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도 2030세대는 ‘일자리’ 고민…“체감정책 필요”

추석에도 2030세대는 ‘일자리’ 고민…“체감정책 필요”

與, 청년 정책 개발…野, 청년 참여 위원회 신설
청년들 “일자리 창출에 진심 갖고 접근해야”

기사승인 2025-10-05 06:00:21
지난달 16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제8회 항공산업 잡 페어(취업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채용공고 게시대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청년세대 민심 잡기에 돌입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와 함께 청년 맞춤형 정책 개발에 나섰고, 국민의힘은 청년들을 주축으로 둔 ‘쓴소리위원회’ 출범을 예고했다.

민주당은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한 청년 지원 정책 필요성과 관련해 입법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현재 청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는 사회적 문제점들이 누적돼 발생한 구조적 위기”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단기 처방으로 청년들의 정책 효능감을 높이고, 장기적인 대책 마련을 통해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 역시 “청년 문제는 국가 존립의 문제”라며 “청년들이 변화를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국회가 책임지고 뒷받침하겠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쓴소리위원회 출범을 통해 청년세대의 목소리를 당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달 14일 부산을 방문해 청년들과 간담회를 진행하며 “청년들이 주축이 된 쓴소리위원회를 신설하고 청년들의 희망을 키울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당내 독립적 소통기구로 지도부의 발언과 정책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위원회를 통해 ‘쓴소리보고서’를 발간하고 내부 토론회를 진행하는 등 청년세대와 함께 젊고 새로운 정당으로 거듭나겠다고 피력했다.

하지만 이 같은 여야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취업준비생이라고 밝힌 김모(27)씨는 쿠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뉴스를 보면 ‘청년’이라는 단어는 많이 등장하지만, 정작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은 거의 없다”며 “정치권이 청년세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청년 고용과 일자리 창출에 대해 진심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모(25)씨는 “현재 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데 졸업 전에 취업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요즘은 좋은 조건의 채용 공고를 찾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인턴 기회도 거의 없어 어디에서 경력을 쌓아야 할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취업 기회가 대폭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구체적 청년 지원책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사회초년생인 성모(32)씨는 “집은 경기도인데 직장이 서울이라 출퇴근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며 “서울에서 자취하려면 현재 월급으로는 생활이 빠듯해 어쩔 수 없이 부모님 집에서 다니고 있다. 청년들의 월세를 대폭 줄여줄 수 있는 현실적 제도 지원이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모(30)씨 역시 “월세 지원이 힘들다면 교통비라도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며 “매일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출·퇴근하다 보면 한 달에 10만원 넘게 든다. 교통비만 지원받아도 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전재훈 기자
jjhoon@kukinews.com
전재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