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이 산불 초기부터 국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대형산불을 막는다.
산림청은 지난 봄 영남 산불의 재발을 막기 위해 마련한 관계부처 합동 ‘산불 종합대책’을 22일 발표했다.
이번 종합대책은 산불 예방·대응 및 산림관리 혁신으로 산불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 실현을 위한 것으로, 산불 발생 초기에 국가자원을 총력 투입해 조기에 진화하고, 교육과 훈련을 통해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산불예방 강화
산림청은 산림과 민가, 국가유산 등 건축물 사이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민가 주변 수목 관리 기준을 강화한다.
특히 산불의 주요 원인인 영농부산물 불법 소각을 막기 위해 파쇄 지원 시기를 가을철 수확기 이후까지 확대하고, 매년 3월 첫째 주를 ‘산불조심 주간’으로 지정해 예방 캠페인과 안전산행 챌린지를 전개한다.
아울러 산불 원인자 처벌도 강화해 실화는 징역 3년 이하에서 5년 이하로, 방화는 5~15년에서 7~15년으로 상향된다.
산림이나 인접 지역에서 불을 피울 경우 과태료 최대 300만 원이 부과된다.
이와 함께 주민과 자율방재단, 의용소방대 등이 참여하는 산불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신고 포상금은 최대 500만 원으로 높인다.
조기대응력 확충
산불 조기발견을 위해 인공지능 CCTV, 드론, 농림위성 등을 활용해 지상·공중·우주에서 입체적으로 산불을 감시한다.
만약 산불이 발생할 경우 군 헬기 41대를 포함한 143대를 즉각 투입한다.
산림청 헬기는 현용 50대를 2035년까지 70대로 확대하고, 출동시간도 50분에서 30분으로 단축한다. 담수용량이 큰 고정익항공기도 2027년 시범운영 할 예정이다.
산불 전문 진화인력은 현재 539명에서 669명으로 늘리고, 다목적 진화차도 33대에서 116대로 대폭 확충한다.
산불 대응 단계는 기존 4단계에서 3단계로 단축하고, 재난성 산불이 우려될 경우 산림청장이 신속 지휘한다.
AI 기반 산불 확산 예측시스템은 산악 기상과 순간풍속까지 반영하도록 고도화한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립산림재난안전교육훈련센터를 2030년 개원하고, 부처 합동 진화훈련을 연 3회로 확대한다.
또 위험지역 주민 대피계획 수립 의무화, 재난로밍과 민방위 경보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통신망도 확충한다.
맞춤형 산림관리
산불을 억제하는 산림관리에도 힘을 쏟는다.
이에 따라 과밀, 침엽수, 단순림 등 산불에 취약한 숲은 솎아베기를 하고, 침엽수와 활엽수를 섞어 심어 혼합림을 만든다.
여기에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불에 강한 수종으로 내화수림대를 조성한다.
산불 피해지는 지역 특성에 맞춰 자연복원, 생태복원, 조림복원을 병행하고 주민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종합 복원체계를 수립한다.
이밖에 진화자원 신속 투입을 위한 임도 확충, 극한 강우에 대비한 사후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대형산불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가장 큰 재난 중 하나로 인식해 산불 초기부터 국가자원을 총동원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산불 대응·복원 전 단계를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실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