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서 친환경농업과장은 양파 재배농가의 경영비와 종자 로열티 절감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농협의 계약재배 품종 선정 시 국내 품종을 2품종 이상 포함해 줄 것 등 다양한 협조를 구했다.

농촌진흥청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등에 따르면 국내에서 재배되는 양파의 80%가 일본산이며 연중 저장해 먹는 만생종 양파의 경우 90%가 일본종자다. 외산 종자를 사용하려면 해당 국가에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데 이는 종자 가격과 관련된다.
일본 종자가 495㎡(150평) 기준 약 14만원 정도이나 국산 종자는 10만원 정도로 로열티 절감은 곧 농가 경영비 부담 경감이 될 수 있다.
함양군은 양파 종자대 지원사업에서 국산종자의 지원단가를 외산종자 보다 높게 지원하는 등 양파 재배농가의 국산 품종 선택을 확대하기 위해 추진 중에 있다.
한편 함양군의 효자작목인 양파는 올해 725농가에서 6만 1238톤을 생산해 약 300억원 정도의 소득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