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순창군이 전국 최초로 농촌공간 재구조화에 초점을 맞춘 기본계획을 수립, 농촌소멸 위기에 대응한 지역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순창군은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2025~2034)’을 수립했다고 12일 밝혔다.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은 농촌지역 난개발과 경제적·사회적·환경적 불균형으로 인한 농촌소멸 위기에 대응해 농촌공간 재구조화를 통한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10년 단위 중장기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3월 29일 시행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해야 하는 법정계획으로, 순창군은 지난해 8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선정한 5개 시범수립 시·군에 포함돼 전국 최초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성과를 거뒀다.
기본계획에는 작년 초부터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생활, 정주, 경제가 융합되는 모두가 행복한 상생순창’을 비전을 바탕으로 6개의 추진전략과 13개의 다양한 추진과제를 담았다.
이를 통해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향후 10년간의 농촌 정책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농촌특화지구 활용방안, 농촌경제 활성화, 정주여건 개선, 생활 서비스 확충 등 농촌지역 재생을 위한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순창읍과 멀리 떨어진 북서부지역(복흥·쌍치·구림면) 복지·문화 등 생활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배후마을의 인구 과소화에 대응해 16개 작은 거점육성에 중점을 뒀다.
또한 순창군은 지난 3월에 110억원 규모의 농촌특화지구 공모사업에 선정된데 이어, 5월에도 370억원 규모의 농촌협약 공모사업에 전북에서 유일하게 선정돼 농촌지역에 새로운 성장의 발판을 다졌다.
최영일 순창군수는 “이번에 수립한 기본계획은 10년 앞을 내다보는 지속가능한 농촌다움을 회복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지역 주민들과 적극적인 소통으로 농촌공간 재구조화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